홍준표 대구시장은 2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이미 만신창이가 되어 당을 이끌어갈 동력을 상실한 지도부라면, 지도부는 총사퇴하고 원내대표를 다시 선출해서 새 원내대표에게 지도부 구성권을 일임해 당대표 거취가 결정될 때까지 비상대책위원회를 꾸리는 것이 법적 분쟁 없는 상식적인 해결책이 될 텐데, 왜 자꾸 꼼수로 돌파하려고 하는지 참 안타깝다"고 밝혔다.
앞서 1일 홍 시장은 자신의 페이스북에 "당대표가 사퇴하지 않는 한 비대위를 구성할 수가 없고, 직무대행을 사퇴하면 원내대표도 사퇴하는 것이 법리상 맞는 것"이라는 글을 올렸다.
홍 시장이 제시한 해결책은 최고위원 당연직인 원내대표와 정책위의장을 비롯한 지도부 총사퇴 후 원내대표를 다시 뽑아 이 대표에 대한 경찰 수사 결과가 나올 때까지 비대위 형태로 당을 운영하자는 것이다. 즉, 지금의 권성동 체제가 아닌 새로운 원내대표를 중심으로 한 비대위를 운영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홍 시장은 또 "이 대표가 가처분이라도 신청한다면 이번에는 받아들여질 것으로 보여지는데, 왜 그런 무리한 바보짓을 해서 당을 혼란으로 몰고 가는지 안타깝다"고 거듭 유감을 밝히며 윤석열 대통령을 겨냥한 듯 "이 대표가 마음에 들지 않는다고 당까지 혼란으로 밀어 넣어서야 되겠느냐? 그렇게 해서 대통령의 지지율이 회복되겠느냐?"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한편, 홍 시장은 해당 글에서 "합리적인 서병수 전국위원회 의장이 괜히 전국위 소집을 거부하는 것도 아니고"라며 서 의장의 전국위 소집 거부를 옹호했으나, 서 의장은 이날 권 원내대표 및 중진 의원들과의 오찬 후 전국위 개최를 "빠른 시간 안에 가능하도록 하겠다"며 입장 변화를 시사했다.
홍 의원은 또한 국민의힘 최고위원회가 비상대책위원회 전환을 위한 전국위원회 소집을 의결한 것과 관련해 "정치인은 공무원과 달리 사퇴선언 하는 순간 그 직을 상실한다"고 꼬집었다.
그는 "그건 강요에 의한 사퇴 가능성을 줄이기 위해 공무원의 경우는 사퇴서라는 요식행위가 필요한 거지만 정치인들은 다르다"며 "제가 당대표 사퇴할때나 황교안 대표가 당대표 사퇴할때 사퇴서를 제출한 일이 있었나"고 물었다.
그러면서 "그만큼 정치인들의 말은 천금 같이 무거워야 한다"며 "점입가경(漸入佳境)"라고 했다.
국민의힘 최고위에는 권성동 원내대표, 성일종 정책위의장, 배현진·윤영석 최고위원이 참석했다. 배현진·윤영석 최고위원은 사퇴의사를 표명하고도 최고위에 참석해 위장 사퇴쇼라는 비판을 받았다.
원본 기사 보기: 미디어저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