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대학교가 윤석열 대통령 부인 김건희 여사의 박사학위 논문 등이 표절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결론을 내리자 졸업생들이 재조사위원회의 명단과 최종보고서를 공개하라고 학교 측에 요구했다.
김건희 논문 심사 촉구를 위한 국민대 동문 비상대책위원회(비대위)는 2일 입장문을 내고 "대학의 최종판단에 재조사위 최종보고서가 충실히 반영된 것인지 학교 당국의 정치적 입장이 관철된 것인지 확인이 필요하다"며 이같이 주장했다.
비대위는 "학교 당국은 이번 결정이 객관적이고 정밀한 조사에 근거한 것임을 입증하기 위해서라도 재조사위원회에 참여한 위원 명단과 최종 보고서를 공개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국민대는 전날 김 여사의 박사학위 논문과 학술지 게재논문 2편 등 총 3편에 대해 "표절에 해당하거나, 학문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용인되는 범위를 심각하게 벗어날 정도의 연구부정행위에 해당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했다"고 밝혔다.
국민대는 나머지 논문 1편에 대해서는 논문 게재와 심사 당시의 기준, 학계 관행 등을 고려해 "연구 부정행위를 검증하는 것이 불가능해 검증이 적절치 않다"고 설명했다.
비대위는 이에 "학문분야에 통상적으로 용인되는 범위, 논문 게재와 심사 당시의 보편적 기준 등으로 포장해 정치적 의도가 담긴 학교 당국 입장이 관철된 것인지 확인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 여사의 연구 부정 의혹이 제기된 건 지난해 7월이다. 김 여사가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디자인학 박사학위 논문과 대학원에 재학할 당시 학술지에 게재한 논문 3편 등에 일부 출처표시를 하지 않은 등의 정황이 논란이 됐다.
국민대는 지난해 9월 학내 연구윤리위원회 규정에 따른 검증시효가 지났다며 조사를 거부했으나 교육부 요청에 따라 같은 해 11월 재조사위를 구성, 전날 결과를 발표했다.
원본 기사 보기: 미디어저널
|